
통계 신뢰구간 계산기
확률적으로 어떤 값이 어디에 있을지 추정하는 것을 "신뢰 구간(Confidence Interval)"이라고 합니다. 예를 들어, 어떤 특성의 평균을 알고 싶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. 모든 사람을 조사하는 것은 힘들기 때문에 일부만 조사합니다.
-
표본 추출: 무작위로 몇 명의 사람을 선택해서 그들의 특성을 조사합니다.
-
평균과 표준편차 계산: 선택한 사람들의 특성을 보고, 전체 모집단의 평균을 예측해봅니다.
-
신뢰수준 설정: 내가 계산한 결과의 신뢰수준을 정합니다. 95%나 99%로 정하는게 일반적입니다.
-
신뢰구간 계산: 이제 내가 계산한 평균 주위에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있는지를 보여주는 구간을 계산합니다. 이것이 "신뢰구간"입니다.
간단히 말하면, 신뢰구간은 "내가 계산한 값 주위에 이정도로 불확실성이 있어"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 이 값이 높을수록(예를 들면, 95% 대신에 99%), 신뢰구간이 넓어지는데, 이것은 추정치에 대해서 불확실성이 더 크다는 뜻입니다.